'도적' 김남길 "거지도, 왕도 될 수 있어…선배님들이 도화지 같다고" [MD인터뷰](종합)

도적단 두목 이윤으로 분한 김남길
"이윤, 성격 정반대라 힘들었다"

배우 김남길 / 넷플릭스
배우 김남길 / 넷플릭스

[마이데일리 = 노한빈 기자] 배우 김남길이 넷플릭스 시리즈 '도적: 칼의 소리'를 준비하면서 경험한 다채로운 감정을 꾸밈없이 전했다.

26일 서울 종로구 안국동 한 카페에서 '도적: 칼의 소리'의 주역 김남길을 만났다.

'도적: 칼의 소리'는 1920년 중국의 땅, 일본의 돈, 조선의 사람이 모여든 무법천지의 땅 간도에서 소중한 사람들과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해 하나 된 이들이 벌이는 액션 활극이다. 남의 물건을 훔치거나 빼앗는 도적(盜賊)이 아닌 '칼의 소리'를 의미하는 도적(刀嚁)들의 이야기로, 1920년대 간도라는 시공간적 배경에 웨스턴 장르를 절묘하게 결합했다.

김남길은 도적단의 두목 이윤 역을 맡았다. 지난 과오에 고통받던 이윤은 노비에서 일본군, 그리고 도적단으로 거듭나며 더 이상 빼앗기고 고통받지 않기 위한 삶을 선택한다.

배우 김남길 / 넷플릭스
배우 김남길 / 넷플릭스

이날 지난 22일 공개된 '도적: 칼의 소리' 해외 반응을 찾아보기도 했는지 묻자 김남길은 "우리나라 반응이 제일 궁금하고 중요하다"면서 "사건을 모티브한 건 아니지만 아시아에서 갖고 있는 역사적인 배경에 대해 해외에서 어떠한 반응을 보일지는 궁금하더라. OTT의 장점이기도 하지 않냐. 처음엔 거창하게 생각하지 않았지만 '어떻게 받아들일까?' 하는 궁금증이 있다"고 답했다.

'도적: 칼의 소리'를 준비하며 성장한 부분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말 타다가 넘어졌던 트라우마를 극복했다"면서 "말이 여리고 순하더라. 겁도 많은데 겁이 많기 때문에 표출을 뒷발로 하는 거였다. 저도 몰랐는데 제가 너무 힘든 것 때문에 이걸 안 하면 작품을 준비할 때 약점이 되겠더라"라고 말했다.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고민했다"는 김남길은 "(정)우성이 형이 '놈놈놈' 때 말에서 떨어져서 골절 됐는데 스태프 분들이 놀라서 뛰어오니까 오지 말라고 하시면서 말한테 괜찮다고 쓰다듬으면서 당근을 줬다더라. 말이 놀라지 않게 안정시켜 줬다는 얘기에 나도 뽀뽀하고 쓰다듬으면서 친해지고 말마다 있는 이름을 불러줬다"고 극복하게 된 과정을 설명했다.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데에는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많이 받아요. 힘든 일들이 고착화되거나 깊어지면 트라우마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말을 많이 해요. 혼자 생각하면 생각이 편협해질 수 있기 때문에 잘못된 생각이더라도 말하려고 노력해요. 선배님들이 내가 뭘 했는지 모르면서 '내 편 해 주겠다'더라고요. 너무 감사했어요."

배우 김남길 / 넷플릭스
배우 김남길 / 넷플릭스

앞서 '도적: 칼의 소리'는 20부작으로 기획됐으나, 9부작으로 제작되면서 빠진 서사가 많다고. "시즌2 하고 싶다"고 강조한 김남길은 "시대적으로 보면 일본군과 독립군이 딱 나뉘어있는데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는 게 매력적이었다. 친일파가 있지만 기회주의자들이기 때문에 언제 넘어올지 모른다. 이러한 배경을 사람들이 어떤 시선으로 바라볼까 하는 기대도 있었다. 이윤이 독립군이 아니라는 점도 매력적이었다"고 출연 계기를 밝혔다.

또한 김남길은 "대전투가 힘들었다"면서 "혼자 하는 거면 어떻게든 해 보겠는데 단체 액션은 빠지고 들어가고 해야 된다. 내가 너무 강렬하게 하다가는 밸런스가 안 맞아서 의문이 생길 수도 있다. 밸런스가 되게 중요하다. 너무 화려하거나 강렬하게 하면 뒤에 도적들이 더 세야 하거나 잘 안 보일 수 있어서 그 수위를 조절하는 게 힘들었다"고 털어놨다.

김남길은 앞서 미국 액션 영화 시리즈 '존 윅'과 같은 액션 연기를 해 보고 싶다고 고백한 바 있다. 이번 작품을 통해 그 갈증을 해소했는지 물었고, 그는 "'존 윅'은 자동 소총을 사용한다"면서 "소총은 연사가 된다. 권총은 수동이고 총알 수가 정해져 있어서 총알을 하나하나를 다 넣어야 한다. 다 장전해서 쏘는 모습이 유니크한 것도 있는데 스피드가 떨어진다. 여전히 '존 윅' 같은 걸 해 보고 싶다"고 욕망을 표현했다.

배우 김남길 / 넷플릭스
배우 김남길 / 넷플릭스

남희신 역을 맡은 배우 서현과 많은 대화를 나눴다는 김남길은 "서현이가 현장에서 답답해했던 건 수동적이고 답답한, 민폐를 끼치는 캐릭터일 수도 있다는 점이었다"고 돌이켰다.

그러면서 "독립군이 갖고 있는 캐릭터에도 여러 가지 군상이 있다. 답답하고 약해 보일 수 있어도, 신체적으로 약하다고 해서 마음이 약한 건 아니지 않냐. 그런 걸 표현해 줬으면 좋겠다고 이야기했다. 본인이 되게 답답했을 것"이라면서 "끝까지 꾹 참고 해 줘서 감사하기도 하다"고 서현을 향한 고마움을 표했다.

수다스러운 성격으로 유명한 김남길이지만 주로 정적인 캐릭터를 맡은 김남길은 "성격이 정반대라 힘들다"면서도 "성장할 수 있는 캐릭터와 아픔이 있어서 그 아픔을 주변 사람들한테 치유 받고 완성되는 캐릭터를 좋아한다"고 이야기했다.

"밖에 나가도 그 캐릭터 그대로 하고 다니지 않으면 사람들이 잘 못 알아보는 경우가 많아요. 알려지기 전에는 뭘 해도 각인이 안 되는 것 같아서 아쉬웠어요. 그런데 각인되고 나니까 거지 옷을 입으면 거지가 되고 왕 역할을 하면 왕이 될 수도 있겠더라고요. 선배님들이 도화지 같다고 말씀해 주셨는데 이제는 그게 장점 같아요."

배우 김남길 / 넷플릭스
배우 김남길 / 넷플릭스

'도적: 칼의 소리'에서의 김남길의 모습이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2008)의 박도원을 연기한 배우 정우성을 연상시킨다는 언급이 나오자 그는 "계속 일하시는 선배님들을 보면 존경하는 마음이 든다"며 "안주하지 않고 사실 더 편안한 길이 있는데도 도전하지 않냐"고 했다.

이어 "윈체스터 총이 나오면 안 돌리고는 못 배기더라"라면서 "스타일리시한 걸 극대화하니까 그렇게 된 것 같다. 우성이 형도 말을 타면서 그렇게 되지 않았나 싶다. 그런 느낌이 들어서 오마주라고 할 수도 있지만 벗어날 수는 없었다"고 전했다.

"일종의 공식이나 마찬가지"라는 김남길은 "윈체스터를 장전하는 데 있어서는 그 총을 돌리는 게 어디서도 빠지지 않는다. 그래도 우성이 형만큼은 아니다. 우성이 형은 여러 번 돌렸지만 저는 한 번만 돌렸다. 그런 걸 보면 선배님들이 대단하다고 느낀다"고 존경심을 드러냈다.

또한 김남길은 "윈체스터 총 무게는 보통 3kg정도인데 체감상 15~20kg정도로 느꼈다"면서 "무거워서 계속 들고 있을 수 없다. 촬영할 때 한 번은 손 아래 스태프 분들이 받춰주고 있기도 했다. 자세히 보면 손이 조금씩 떨릴 때가 있는데 진짜 무거워서 떨린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남길은 무게중심을 이용해서 총을 돌리는 연습을 했다고. 자연스럽게 돌리기 위한 노력을 묻자 그는 "눈 뜨면 돌리고 눈 감기 전까지 돌렸다"며 "씻기 전에도 돌려보고 차에 갖고 다녀서 차에서도 돌려보고 손가락 감각을 익히려고 계속 몇 번씩 돌렸다"고 떠올렸다.

"2~3개월 동안 거의 하루도 안 빼고 돌렸어요. 어머니가 '어지럽다'고 하시더라고요. 앞뒤로만 돌리는 게 아니라 옆으로도 돌려야 해서 연습을 많이 해야 했어요. 윈체스터 총은 웨스턴 색이 강한데 '너희만 하는 게 아니라 우리도 할 수 있다' 이런 걸 보여주고 싶었어요."

한편 '도적: 칼의 소리'는 총 9부작으로, 22일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됐다.

노한빈 기자 beanhana@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