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
[마이데일리 = 이지혜 기자] 서울아산병원은 몽골에 전수한 생체간이식 의술이 최근 현지 병원 누적 300례를 달성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숫자는 간이식 자립을 의미한다.
서울아산병원은 몽골 정부의 요청을 받아 지난 2010년부터 15년간 몽골 울란바토르 국립 제1병원에 생체간이식을 전수했다. 아시아 저개발국 의료자립 프로그램인 ‘아산 인 아시아’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1950년대 중반 우리나라가 한국 재건 의료 원조인 ‘미네소타 프로젝트’를 통해 근대 의료의 기틀을 마련한 것처럼, 우리나라가 받은 혜택을 서울아산병원이 앞장서 몽골, 베트남 등 의료 환경이 열악한 아시아 국가를 돕고자 2009년 시작됐다.
그동안 한국과 몽골 의료진 406명이 양국을 오갔다. 몽골 국립 제1병원 외과의사와 간호사 등 의료진 192명을 초청해 연수를 진행했다. 2011년부터는 19차례에 걸쳐 서울아산병원 의료진 214명을 현지에 파견해 간이식 진료와 수술 시스템을 구축하고 협진 수술을 시행했다.
몽골 국립 제1병원은 지난달 22일 몽골 첫 기증자의 간을 복강경으로 절제하는 고난도 수술에도 성공했다. 간경화를 앓던 어머니 엥흐멘드(41세·여) 씨에게 아들 갈바드라흐(25세·남) 씨의 간이 성공적으로 이식됐는데, 이 수술에는 서울아산병원 간이식·간담도외과 정동환, 강우형 교수가 함께 참여했다.
아산 인 아시아 프로젝트를 이끈 이승규 서울아산병원 간이식·간담도외과 석좌교수는 “몽골 정부와 처음 협약을 맺을 당시 몽골은 간암 사망률 세계 1위임에도 마땅한 간이식 치료 기술과 장비가 없어 전적으로 해외 원정 치료에 의존해야 했다”며 “이제는 몽골에서 300명이 넘는 환자가 간이식으로 새 생명을 얻었다는 사실에 감회가 새롭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지혜 기자 imar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