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한화그룹 3형제, 트럼프 주니어와 회동…조선·美태양광 사업 논의 전망
이재현 CJ 회장, 美 대규모 공장 준공…사업 전략적 협업 논의
재계 총수들, 트럼프 주니어와 극비 줄회동…오늘 밤 출국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30일 재계 총수와 릴레이 회동을 갖는다.
재계에 따르면 이날 트럼프 주니어는 서울시 강남구 센터필드 건물의 한 보안구역에서 재계 인사들과 릴레이 면담을 진행하고 있다. 회동은 관계자 이외 접근이 차단된 호텔 별도 보안 구역에서 진행됐다. 면담은 일대일 차담 형식으로 1시간 가량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주니어는 이날 오전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 3형제를 만났다. 한화가 3형제와 트럼프 주니어 간 면담 내용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번 만남에서 한화그룹의 미국 내 사업 확대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화그룹은 미국 현지에서 에너지 및 조선 관련 사업을 활발히 전개 중이며, 특히 한화솔루션은 조지아주에 태양광 모듈 일관 생산단지인 '솔라 허브'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 시설은 연간 8.4GW 규모의 생산 능력을 갖췄으며, 약 13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한화는 현지 생산 비중을 70% 수준으로 높여 미국산 태양광 우선 정책에 부합하고 관세 부담을 줄인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김 부회장은 미국 정부의 인센티브 정책 지속과 세제 혜택 확대를 요청했을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한화그룹은 방산·조선에서도 미국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최근 호주의 방산 조선업체 오스탈 지분을 확보하며 미국 시장 공략에 나선 상황이다. 오스탈은 앨라배마와 샌디에이고에 조선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 해군 소형 수상함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이다.
이재현 CJ그룹 회장도 이날 트럼프 주니어와 비공개 개별 면담을 가졌다. CJ그룹 최근 몇 년간 미국 현지 사업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주요 식품 계열사인 CJ 제일제당은 미국 중서부 사우스다코타주 수폴스에 7000억원을 투자해 '북미 아시안 푸드 신공장'을 2027년을 목표로 구축 중이다. 이 회장은 미국 내 투자 확대와 현지 생산 전략 등에 대해 설명하는 한편 식품 수출 애로 사항 등을 어필하며 사업 확대 협력 방안 등을 제안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신유열 롯데그룹 부사장은 2022년 인수 및 증설한 롯데바이오로직스 시큐라스 공장을 주제로 면담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국내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중 처음으로 올해 미국 내 의약품 생산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신유열 부사장이 롯데바이오로직스 글로벌전략실장을 맡은 만큼, 트럼프 주니어와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눌 것으로 보인다.
이해진 네이버 의장은 인공지능(AI)과 차세대 기술 흐름 등에 관해 트럼프 주니어와 의견을 나눴다. 네이버는 "AI, 테크, 글로벌 진출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상호 협력에 대한 긍정적인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다.
트럼프 주니어는 이 밖에도 허용수 GS에너지 사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구자은 LS그룹 회장, 박정원 두산 회장, 조원태 대한항공 회장 등과도 면담을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주니어는 전날(29일) 오후 전세기편으로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입국했다. 이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자택으로 이동해 오후 9시부터 2시간가량 만찬을 함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주니어는 재계 총수들과의 면담 일정을 소화하고서 30일 밤늦게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출국할 예정이다. 출국 시간은 면담 진행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 것으로 전해졌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