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 로그인
  • 회원가입
  • 경제산업
    • 경제
    • 산업
    • 생활일반
    • 여행레저
    • 패션뷰티
  • 금융
  • IT/과학
    • IT 일반
    • 통신
    • 게임
  • 사회
    • 사회일반
    • 지역
    • 보건
  • 연예
    • 방송
    • 영화
    • 음악
    • 해외연예
    • 일반
  • 프로야구
    • 야구
    • 해외야구
  • 해외축구
    • 해외축구
    • 축구
  • 스포츠
    • 배구
    • 농구
    • 골프
    • e스포츠
    • 격투기
    • 스포츠종합
  • 사진/영상
    • 연예
    • 스포츠
    • 경제산업
    • 영상
  • 랭킹빌더
  • 다음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유튜브 공유
  • 검
검색
마이데일리 메뉴닫기
  • 최신기사

  • 경제산업

    • 경제
    • 산업
    • 생활일반
    • 여행레저
    • 패션뷰티
  • 금융

  • IT/과학

    • IT 일반
    • 통신
    • 게임
  • 사회

    • 사회일반
    • 지역
    • 보건
  • 연예

    • 방송
    • 영화
    • 음악
    • 해외연예
    • 일반
  • 스포츠

    • 배구
    • 농구
    • 골프
    • e스포츠
    • 격투기
    • 스포츠종합
  • 프로야구

    • 야구
    • 해외야구
  • 해외축구

    • 해외축구
    • 축구
  • 화제

  • 기자연재

  • 사진/영상

    • 연예
    • 스포츠
    • 경제산업
    • 영상
  • 돈버는퀴즈

  • 랭킹빌더

TV/연예

40억 VS 350만원 제작비, 케이블 채널도 빈익빈부익부

시간2012-01-09 15:09:36 김경민 기자 fender@mydaily.co.kr
  • 0
  • 가
  • 가
  • 카카오톡에 공유하기카카오톡
  • 페이스북에 공유하기페이스북
  • 트위터 공유하기트위터
  • 네이버블로그에 공유하기URL복사
  • 네이버블로그에 공유하기네이버블로그
URL복사

[마이데일리 = 김경민 기자]한 회당 제작비가 40원 억이 드는 프로그램이 있는 반면, 350만원이 드는 프로그램도 있다. 올해 케이블 채널 PP(Program Provider)들이 회당 제작비로 지출한 금액이다.

40억을 지출한 회사는 CJ E&M이다. 엠넷에서 지난해 치른 ‘Mnet Asian Music Awards’(이하 MAMA)는 케이블 업계 뿐만 아니라 한국 미디어 업계의 공룡 시상식 중 하나로, 회당 40억 이상이 들어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350만원의 제작비를 지출한 회사는 너무나 많다. A 케이블 채널의 효자 프로그램으로 지목되는 한 프로그램은 이 적은 금액으로 MC출연료, 작가 월급, 직원 식대 등 모든 것을 해결한다. 그런데 시청률은 몇 천만원을 투자한 프로그램과 비교해 뒤지지 않아 내부에서 칭찬을 받고 있다.

종편 채널의 출범 이후 방송가는 무한 경쟁의 시대를 맞이 했다. 더 없이 넓어진 프로그램의 선택으로 연예인의 몸값은 급상승했고 외주제작사들 또한 호기를 맞았다. 하지만 이런 시장의 변화가 지상파 방송사와 기존 케이블 채널에는 좋게 작용하고 있지 못하다.

수신료를 받는 KBS와 MBC야 그렇다 치지만 민영방송인 SBS와 일부 케이블 채널은 당장 종편의 거센 후폭풍을 받고 있다. 프로그램당 할당된 광고띠를 채우지 못해 당장 제작비 축소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히 케이블 채널의 경우 그 정도가 심하다. 한 복수 채널을 보유하고 있는 한 케이블사의 재무 관계자는 “당장 광고 수입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줄고 있는 상태다. 광고 단가도 떨어졌을 뿐더러 일부 인기없는 프로그램의 경우 타 프로그램에 들어온 광고를 염가로 돌려서 막고 있는 상황이다”고 전했다.

상황이 이렇자 케이블 업계는 두 가지 방향으로 생존 경쟁에 나섰다. 대폭적인 투자 혹은 예산의 감액이다.

CJ E&M의 경우 대대적인 투자에 나선 케이스다. KBS 출신의 이명한 PD를 비롯해 김석현 PD와 작가들을 대거 영입했다. 타 케이블사에서 뽑아간 인재만 부지기 수다.

이 같은 투자는 일부 성과를 낳고 있다. 김석현 PD의 ‘코미디 빅리그’는 케이블 업계에서 경이로운 시청률인 5%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MAMA’와 효자 프로그램 ‘슈퍼스타K’ 뿐만 아니라 장진 감독을 영입한 ‘SNL코리아’, 이경규, 김구라의 특급 MC를 내세운 ‘화성인 바이러스’, 한국판 ‘탑기어 코리아’ 등 지난해 하반기부터 자체제작에 힘을 쏟고 있다.

CJ E&M의 경우 대대적인 투자를 감행 했지만 타사의 경우 그렇지 못하다. 기존 프로그램 유지 혹은 ‘본전치기’는 할 수 있는 미드 수입에 중점을 두고 있다.

Y-STAR와 코미디TV, 드라맥스, AXN을 보유한 CU미디어의 경우 ‘식신로드’, ‘얼짱시대’ 등을 제외한 자체 제작 프로그램의 경우 대폭 줄인 상태다. 새로 론칭한 AXN의 경우 미드 전문 방송이다.

패션앤과 채널뷰, E채널, 스크린 등을 보유한 티캐스트의 경우에도 지난해 자체제작 드라마 ‘여제’로 아쉬움을 남긴 이후 자체제작 프로그램 얘기가 나오고 있지 못한데다 킬러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지 못하다.

한 케이블 제작 관계자는 “제작비가 줄어들다 보니 신규 투자에 엄두를 내고 있지 못하다. 케이블의 경우 지상파와 달리 수익성이 보장되야 하는데, 제작비를 투입한 작품이 실패할 경우 목소리를 내고 있지 못하다”고 실상을 전했다.

물론 시청률은 제작진과 경영진의 촉각을 곤두세우게 하는 지표다. 시청률로 케이블이 존재할 수 있는 광고가 갈린다. 종편의 출범으로 가뜩이나 좁은 광고가 갈려버린 현 상황에서 케이블 채널에 대대적인 투자를 바란다는 것은 모험일 수도 있다.

하지만 tvN 채널 출범 후 천문학적인 돈을 투자하면서도 수익을 내지 못하던 CJ E&M의 경우 프로그램 퀄리티에 대해 지상파와 맞먹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 케이블사 PD는 “수십억을 들여 지상파 재방송권을 사왔는데, 제작비를 줄여가면서 그런 거액을 재방송 구입에 사온 회사의 방침이 아쉽다”고 토로할 정도다. 과거에는 케이블 채널이 지상파 방송의 재방송으로 재미를 본 적이 있다. 하지만 그런 채널은 영원히 ‘재방송 채널’로 밖에 인식될 수 밖에 없다.

과감한 투자로 지상파와 경쟁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드느냐, 아니면 지키기에 급급해 작은 성공에 안주할 것인가? 그것은 요즘 케이블 업계의 딜레마다.

[사진 = 2011 MAMA에서 3관왕을 차지한 슈퍼주니어]

김경민 기자 fender@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썸네일

    “싱크대에 오줌 싼 남편”, 아내 충격

  • 썸네일

    '한의사♥' 강예원, 다 가졌는데 욕심도 많네…연애하며 공부하는 '갓생러'

  • 썸네일

    심진화♥김원효, 가족여행 중에도 입맞춤…일상이 로맨스 영화

  • 썸네일

    "구도원 못 잃어"…정준원, '언슬전' 종영에 아쉬움 한가득

댓글

등록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많이 본 뉴스

  • ‘박수홍♥’ 김다예 살 쏙 빠졌네, “임신후 37kg이나 증가했는데”

  • "아빠는 존재하지 않아" 오광록 子, 7년만 재회에 원망 섞인 눈물 [아빠하고](종합)

  • ‘김민희♥’ 홍상수, 칸 레드카펫 등장…“깔끔한 수트의 늦둥이 아빠”

  • 이보영, 나이는 거꾸로? 40대 분위기가 이 정도야 [MD★스타]

  • '2G 연속 안타' 이정후, 연이틀 4번 타자 '중책'…'패패패패' 위기에 빠진 SF 구해낼 수 있을까

베스트 추천

  • 사유리 자식 농사 대박 “아들 젠, 5개 국어 척척…발음 좋아”(돌싱포맨)

  • "스포일러 조심하세요"…'나인퍼즐' 손석구X김다미, 아슬아슬한 공조 시작 [MD현장](종합)

  • '나인퍼즐' 손석구 "김다미와 케미? 같이 있으면 귀여워" [MD현장]

  • '나인퍼즐' 윤종빈 감독 "김다미, 이상한데 사랑스럽고 밉지 않아" [MD현장]

다른 사람들이 많이 본 기사

  • 3년간 부부관계 거절한 아내가 낙태한 이유

  • 여자는 20대에 아이 낳아야? 성희롱 발언 교사

  • 술 취해 충격 비주얼 공개된 유명 배우 근황

  • 마약 집행유예 중 음주운전 입건된 가수

  • 딸 학비 6억 원 든다고 밝힌 연예인 부부

해외이슈

  • 썸네일

    로버트 드 니로, “미국인은 트럼프에 반대하며 지옥처럼 싸운다” 직격탄[해외이슈]

  • 썸네일

    ‘애둘맘 카일리 제너와 동거♥’ 티모시 샬라메, 뉴욕 닉스 경기 관람 “러브 투어”[해외이슈](종합)

기자 연재

  • 썸네일

    노장은 살아 있다! 기적의 역전승 합작한 인테르 밀란 '37살 GK와 DF'[심재희의 골라인]

  • 썸네일

    '만루포+3점포' 호수비로 데굴데굴 굴러도 모든 게 이쁘다…원맨쇼의 주인공 [곽경훈의 현장]

인터뷰

  • 썸네일

    정승환 "나이 들수록 깨닫는 것, '가수 성시경'의 위대함" [MD인터뷰]

  • 썸네일

    정승환 "군대에선 에스파·프로미스나인·엔믹스 인기…나도 TV 나가고 싶더라" [MD인터뷰]

  • 썸네일

    보이넥스트도어 "앨범은 '노 장르', 우린 '올 장르'…언젠가 코첼라 서지 않을까요" [MD인터뷰](종합)

  • 썸네일

    정승환 "유희열과 10년, 음악으로도 인간으로도 날 만들어주신 분" [MD인터뷰]

  • 회사소개
  • 고객센터
  • 광고·제휴문의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 RSS 서비스
마이데일리

등록번호 : 서울 아00063 | 등록일 : 2005년 9월 15일 | 발행일자 : 2004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 : 이석희
청소년 보호 책임자 : 김민희 마이데일리(주) 서울시 중구 을지로 11길 15, 408호 마이데일리 (수표동, 동화빌딩)(우: 04543)
편집국대표전화 : 02-785-2935 | 전략기획실대표전화 : 02-785-2932
마이데일리의 모든 콘텐츠(사진,영상,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자동화된 수단(로봇·봇, 스크래퍼 등)을 이용한 수집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