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사랑의 추억을 봉인하는 ‘화양연화’[곽명동의 씨네톡]

[마이데일리 = 곽명동 기자]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원치 않으면, 뒤로 가기를 눌러주세요.

18세기 프랑스의 외딴 섬, 초상화를 그리는 화가 마리안느(노에미 멜랑)는 원치 않는 결혼을 앞둔 귀족 아가씨 엘로이즈(아델 에넬)의 결혼 초상화 의뢰를 받는다. 엘로이즈 모르게 그림을 완성해야 하는 마리안느는 비밀스럽게 그녀를 관찰하며 알 수 없는 묘한 감정의 기류에 휩싸인다. 사랑에 빠진 이들은 결국 사회적 관습에 따라 헤어진다. 먼 훗날 마리안느는 비발디 ‘사계’중 ‘여름’ 3악장을 듣고 있는 엘로이즈를 먼 발치에서 바라본다.

셀린 시아마 감독이 각본을 쓰고 연출한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은 사랑이 발화되는 지점부터 불타오르는 감정의 상승을 거쳐 안타깝게 이별하는 하강에 이르는 과정을 섬세한 붓터치로 한 폭의 그림처럼 아름답게 그려냈다. 칸 영화제 각본상 수상작답게, 스토리텔링이 뛰어난 이 영화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그리스 신화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를 독창적으로 해석한 부분이다.

먼저,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 이야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르페우스는 아내 에우리디케가 뱀에 물려 죽자 그녀를 데려오기 위해 저승으로 내려가서는 그녀를 지상으로 돌려보내달라고 저승의 신 하데스를 설득했다. 하데스는 돌아가는 길에 뒤를 돌아보지만 않는다면 그렇게 해주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오르페우스는 믿어지지 않아 도중에 돌아서서 아내를 보았고, 이에 아내는 저승으로 되돌아갔다.

엘로이즈, 마리안느, 하녀 소피(루아나 바야미)는 한 자리에 모여 신화를 함께 읽는다. 오르페우스가 에우리디케를 뒤돌아보는 결정적인 장면에서 세 명은 서로 의견이 엇갈린다. 소피는 “아내를 잃을까봐 겁났다는 건 이유가 안된다”고 주장한다. 마리안느는 “선택을 했을 수도 있다. 그녀와의 추억을. 그래서 뒤돌아봤다. 연인이 아닌 시인의 선택을 한 것이다”라고 말한다. 잠시 생각에 잠긴 엘로이즈는 “여자가 말했을 수도 있죠. 뒤돌아봐요”라고 답한다.

여기서 ‘시인의 선택’은 감독이 프랑스 작가 블랑쇼의 해석을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블랑쇼는 ‘문학의 공간’을 통해 “노래에 대한 염려 속에서, 법을 망각한 초조함과 무모함 속에서 에우리디케를 바라보는 것, 바로 이것이 영감이다”라고 썼다. 이어 “글을 쓰는 것은 오르페우스의 시선과 함께 시작한다”고 했다. 영화를 만드는 것 역시 오르페우스의 시선과 함께 시작한다고 감독은 생각했을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블랑쇼는 금기를 깬 오르페우스를 시인이라고 생각한 반면, 감독은 한 발 더 나아가 에우리디케 역시 ‘시인의 선택’을 했다고 상상한 것이다. 결국,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는 금기를 어김으로써 각자 ‘추억’이라는 이름의 영원한 사랑을 선택했다. 신화는 그렇게 끝이 난다. 그렇다면, 18세기 동성애가 엄격하게 금지된 프랑스에서 마리안느와 엘로이즈는 어떤 선택을 했을까.

이들 역시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처럼 추억 속에 사랑을 봉인하는 선택을 내린다. 마리안느는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이라는 이름의 그림으로, 엘로이즈는 둘만 알고 있는 사랑의 숫자를 써놓는 방식으로. 그러니까, 이들은 시인(예술가)의 선택에 공감했다. 불처럼 타올랐던 사랑은 언젠가 식는다. 이별이라는 비극을 추억이라는 행복으로 간직한 것. ‘화양연화’의 차우(양조위)가 앙코르와트 사원에 이루지 못한 사랑을 봉인했듯, 이들은 각자의 예술에 사랑을 새겨놓았다.

‘인생에서 가장 아름답고 행복한 순간’(화양연화)은 그렇게 영원히 남는다.

[사진 = 그린나래미디어]

곽명동 기자 entheo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