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명동의 씨네톡]‘에이리언:커버넌트’, 호모 데우스의 암울한 미래

[마이데일리 = 곽명동 기자]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리들리 스콧 감독의 ‘에이리언:커버넌트’는 웨이랜드의 창업주 피터 웨이랜드(가이 피어스)가 자신이 만든 인공지능 데이빗(마이클 패스벤더)을 테스트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피아노가 놓여 있는 하얀색 방에는 ‘그리스도의 탄생’이 걸렸다. 이 그림은 피터 웨이랜드가 그 자신이 ‘신’이 되어 피조물을 만들었다는 점을 암시한다. 그는 데이빗에게 스스로 이름을 찾으라고 하는데, 데이빗은 미켈란젤로의 조각상 ‘다비드상’을 보고 자신의 이름을 짓는다. 다비드상은 다윗이 골리앗과 싸우기 직전의 긴장된 순간을 표현했다. 망태를 메고 옆을 똑바로 응시하면서 돌을 쥐고 막 던지려는 순간이다. 공격적인 자세다.

‘그리스도의 탄생’과 ‘다비드상’은 두 가지를 알려준다. 신을 자처하는 인간에 의해 태어난 데이빗이 그 신에 맞선다는 것. 이제 인간은 자신이 만든 인공지능의 공격을 막아야하는 신세로 전락한다.

데이빗은 ‘프로메테우스’에서 처음 등장했다. 극중 시간은 서기 2093년이다. 앞으로 76년 뒤의 이야기다. ‘알파고’와 같은 인공지능이 발전을 거듭한다면 완벽한 인간 ‘데이빗’이 탄생하는 것도 가능한 시나리오다.

<사피엔스>로 유명한 유발 하라리는 최근 데이빗과 같은 인공지능 탄생 가능성을 전망한 <호모 데우스>를 펴냈다. 전자가 인류의 과거를 다뤘다면, 후자는 인류의 미래를 예측한다. 생존투쟁에서 살아남은 인류가 다음에 할 일은 신으로 업그레이드하고, 호모 사피엔스를 호모 데우스로 바꾸는 것이다. 데우스(Deus)는 라틴어로 ‘신’(God)이라는 뜻으로, ‘호모 데우스’는 ‘신이 된 인간’을 말한다.

피터 웨이랜드는 유발 하라리가 전망하는 호모 데우스의 미래상이다. 데이빗처럼 인공지능을 가진 사이보그는 인간을 어떻게 대할 것인가. 유발 하라리는 사이보그가 보통 사람을 어떻게 대할지 알고 싶다면, 인간이 자신보다 지능이 떨어지는 동물을 어떻게 대하는지 보면 알 수 있다고 경고한다.

리들리 스콧 감독은 1982년 ‘블레이드 러너’에서 호모 데우스의 비극을 다룬 바 있다. 이 영화에서 인간은, 피터 웨이랜드처럼, 복제인간(리플리컨트)을 만든다. ‘블레이드 러너’의 창조주 역시 피조물의 공격을 받는다.

최근 나오는 영화들은 비인간, 즉 피조물이 자신의 창조주인 인간을 멸종시키는 이야기를 다룬다. 2015년 개봉한 ‘어벤져스:에이지 오브 울트론’을 떠올려보라. 아이언맨이 만든 울트론은 탄생하자마자 인류 절멸을 시도한다.

카네기멜론 대학의 인공지능학자 한스 모라비치는 호모 사피엔스가 네안데르탈인을 멸종시켰듯, 기계도 호모 사피엔스를 멸종시키는 것이라고 내다봤다. 호모 사피엔스는 현명한 인간이 아니라 약탈하는 인간이었으니까. 사이보그는 약탈하는 인간을 없애는 것이 지구 평화에 이로울 것이라고 판단할 것이다.

인간 그 이상의 능력을 갖추게 될 인공지능 또는 사이보그의 등장은 인류에게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과연 인간이란 무엇인가. 인간은 왜 존재해야 하는가. 이에 대한 답을 구하지 못한다면, ‘신이 된 인간’은 디스토피아와 마주칠 것이다.

[사진 제공 = 20세기 폭스]

곽명동 기자 entheo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